본문 바로가기
뜨끈뜨끈 신속 정보

📢2025년부터 바뀌는 다자녀 혜택 총정리! 두 자녀도 혜택받는 꿀정보

by 치포땡 2025. 4. 11.

SMALL

 

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가 움직였습니다!
2025년부터는 '다자녀 혜택'의 기준이 자녀 두 명 이상으로 확대되면서,

수많은 가정이 주거, 교육, 교통, 세금 등에서 더 많은 지원을 받게 됩니다.

기존에는 세 자녀 이상 가구만 받을 수 있었던 다양한 혜택이 이제는 두 자녀 가구도 포함되어,

놓치면 아쉬운 정보들이 가득합니다.
이번 글에서는 정부의 새로운 정책 변화와 지자체별 혜택까지 총정리하여 소개드립니다.


🏡 다자녀 기준 변경 – 이제는 두 자녀부터!

기존에는 세 자녀 이상 가구만 다자녀 가구로 인정되었으나, 2025년부터는 두 자녀 이상이면 혜택 대상입니다.
단, 일부 혜택은 여전히 세 자녀 이상에만 적용되므로 반드시 항목별로 확인이 필요합니다.

✅ 두 자녀부터 포함되는 주요 혜택

  • 청약 가점 및 우선 공급
  • 전세자금 대출 금리 우대
  • 어린이집·유치원 입소 우선순위
  • 문화/체육시설 강좌 할인
  • KTX·SRT 교통비 할인
  • 전기차 보조금 및 세액공제

 


🏠 주거 및 청약 혜택

✔ 청약 가점 우대
두 자녀 이상이면 청약 점수에서 가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✔ 국민임대주택·장기전세주택 우선 공급
공공임대주택 공급 시 다자녀 가구는 우선순위에 놓이며, 국민임대주택과 장기전세주택 등 다양한 유형에서 적용됩니다.

✔ 주거자금 대출 금리 혜택
디딤돌 대출 및 주거안정 대출에서 다자녀 가구 금리 우대 적용(최대 0.5%까지 낮아짐).


👶 교육과 육아 지원

✔ 유치원·어린이집 우선 입소
두 자녀 이상 가정은 어린이집 및 유치원 우선 입소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✔ 유아 학비 지원 (지자체별 상이)
세 자녀 이상이면 유치원 학비를 지자체에서 월 5~10만 원 추가 지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✔ 아이돌봄 서비스 확대
만 12세 이하 자녀를 둔 가정에서 아이돌봄 서비스를 우선 제공받을 수 있으며, 비용 부담도 낮아집니다.

✔ 같은 학교 우선 배정 제도
형제·자매가 같은 초등학교·중학교에 다닐 수 있도록 정부가 전국적으로 확대 추진 중입니다.


🎓 교육비·장학금 지원

✔ 다자녀 국가 장학금
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원되며, 셋째 자녀부터 대학 등록금 전액 면제 가능합니다.

✔ 출산 크레딧
둘째 자녀부터는 국민연금 가입 기간 12개월 추가 인정, 세 자녀 이상은 30개월까지 인정됩니다.


🚄 교통·문화 혜택

✔ KTX·SRT 할인

  • 두 자녀 가구: 성인 요금 30% 할인
  • 세 자녀 가구: 성인 요금 50% 할인
    예) 2,000원 요금 → 1,000~1,400원으로 환급

✔ 공영주차장 및 한강 주차장 50% 할인
공공시설 주차비용이 절반으로 절약되며, 일부 지역에서는 온라인 신청으로 등록 가능

✔ 공항 패스트트랙 이용
다자녀 가정은 인천공항 등 주요 공항에서 패스트트랙 이용 가능
세 자녀 이상 가구는 출국장 우대 라인까지 이용 가능


⚡ 에너지·세금 지원

✔ 전기·가스·난방비 감면
세 자녀 이상 가구 기준

  • 전기료: 월 최대 16,000원
  • 가스비: 월 최대 18,000원
  • 지역난방비: 월 최대 4,000원

✔ 전기차 보조금

  • 2자녀 가구: 100만 원
  • 3자녀 가구: 200만 원
    ※ 지자체에 따라 추가 보조금이 있음

✔ 세액 공제 상향

  • 2자녀 가구: 연 55만 원
  • 3자녀 이상: 초과 1인당 연 40만 원 추가 공제


🎟️ 문화·체육 시설 감면

✔ 다자녀 카드 소지 시

  • 국립수목원, 자연휴양림 무료 입장
  • 박물관·미술관 할인 적용
  • 지자체 운영 문화센터·체육센터 강좌료 30~50% 감면

✔ 신청 방법
혜택 신청은 다음을 통해 가능:

  • 정부24
  • 복지로
  • 가까운 주민센터

※ 혜택은 지역마다 시행 여부 및 감면 비율이 다르므로, 사전 확인은 필수입니다.